『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2현북스, 2022 > 단행본 한국역사연구회


우리가 잘 아는 「흥부전」에서 제비의 다리를 고쳐 주고 복을 받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되는 것이다. 상상하고 그리고 만들고 디자인하고 책 읽고 글 쓰고 운동하면서 어제와는 또 다른 하루를 만들려고 한다. 당시 고조선 사회는 이미 상당한 정도로 계급 분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8조의 법금(法禁) 중 현재 전해지는 3개 조항에서, 화폐 개념과 노비의 존재, 그리고 사유 재산에 대한 보호 조치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 지배층의 무덤에서 출토되는 화려한 부장품들은 계급 분화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러나 촌락에선 공동체적 관계가 여전히 작용하고 있었다.


1198년(신종 1년)에 일어난 만적의 난은, 신분 해방은 물론 더 나아가서 정권 탈취를 위해 계획된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반란군의 부르짖음은 그 후 정부 시책에도 반영되었다. 고려의 신분 질서의 동요를 말하여 주는 이들 반란은 고대적인 유산을 청산하려는 사회적인 움직임으로서 그 의의가 크다. 무신정변 이후 무신들은 조정의 주요 관직들을 모두 독점하고 부를 늘려갔으며, 저마다 사병을 길러 서로 권력을 뺏고 빼앗기는 쟁탈전을 벌였다.


그런 스님이 천 년 세월 동안 가야산 해인사에 기거하다 이번에 처음 절 밖으로 나들이를 했습니다. 만약 북에서 태조 왕건의 조각상이 내려와 둘의 극적인 만남이 성사됐다면 “스승과 제자, 천 년만의 해후”가 됐을 겁니다. 두 분이 오붓한 시간을 보내시라고 박물관에서 미리 널찍하고 조용한 공간까지 마련해 놓았더군요. 전시 기간이 아직 넉넉하니 기적 같은 만남이 성사될지 혹시 또 모를 일입니다. 단군왕검이 도읍한 지 약 1500년이 지난 뒤에 은나라에서 기자(箕子)가 동래하여 임금이 되고, 단군은 신(神)이 되었다고 하니 이것이 기자조선의 시작이다. 그러나 기자조선의 존재유무와 기자조선의 성격 그리고 기자의 혈통에 관하여 논란이 많다.


즉 ‘000 훼부(양부)’ ‘0000 소훼부(급량부)’ ‘000 본피부’, 이런 식이었다. 이 시기부터 호족세력에 대한 무자비한 숙청이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숙청으로 광종 자신도 신변의 위협을 느껴 아들까지도 가까이 오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후 공신들에게 관직에서 내쫓거나 새로운 관직을 주지 않았고, 광종의 정책에 반대하거나 다른 왕자군의 배경세력인 외척 세력 호족들을 전면 숙청, 처형한다.


마찬가지로 조선 초기의 가족제도는 그 전시대인 고려의 가족제도와 여러 측면에서 동질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고려시대 가족제도에 대한 이해는 조선 초기의 가족제도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남아 있는 인쇄된 책 중에서 세계에사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을 통해 고려인들의 인쇄술을 알 수 있어요. 직지심체요절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금속 활자는 서양에서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어요.


이후 후삼국 시대의 전란 속에서 신라의 항복을 받고, 이어 견훤(甄萱)이 세운 후백제를 무력으로 꺾어 936년(태조 19)에 통일을 달성하였다. 성균관 학생들은 동재(東齋)와 서재(西齋)에서 숙식하면서 공부하였는데 이들은 식당에 비치된 명부인 도기(到記)에 서명해야 했다. 이를 근거로 원점(圓點)을 계산하여 300점 이상을 받은 학생만 관시(館試)라고 하는 성균관 유생들에게만 부여한 별도의 문과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다.


그 어느 나라도 고려처럼 끈질기게 저항을 한 곳이 없었다. 몽골은 고려와의 싸움에 지치기도 했거니와 더 이상은 전쟁을 할 수 없기에 고려와 조건을 내걸고 화해를 한 것이다. 고려로 넘어오면서 교과서에 거란과 몽골의 침입, 그리고 바로 고려 문화로 넘어간다. 그래서 거란에 대한 설명과 고려가 거란에 어떤 입장을 보였는지를 설명했다. 서희의 경우 교과서에 이미지도 잘 설명되어 있고, 내가 이야기로 충분히 아이들의 집중도를 끌여낼 수 있을 것 같아 빈 칸으로 두었고 귀주 대첩은 영상을 보고 추가로 적을 수 있도록 했다. 강동 6주는 거란의 침입에 있어 빠질 수 없는 지명이여서 넣었다.


그리고 각지에 있는 상점에서 해동통보를 사용하게 했어요. 건원중보 뒷면에는 우리나라를 나타내는 ‘동국(東國)’이라는 글자가 위 아래로 표시되어 있어요. 건원중보는 996년(성종 15)에 발행되었는데, 백성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였어요. 왜냐하면 당시 백성들은 주로 쌀과 옷감을 사용하였기 때문이지요.


고려시대는 그 시대의 문화, 예술, 외교,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록된 역사적 사실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이루어진 혁신은 이 시대의 발전과 역사적 의의를 함께 갖고 있었습니다. 건국 이후 왕실은 농업, 수도,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적 혁신을 추진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은 귀족층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고려시대의 수도인 개경(현대의 서울)은 배수 시스템과 길건설 기술을 통해 깨끗하고 편리한 도시로 발전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외교적인 활동과 역사적 의미도 가지고 있는데요.


그 뒤에도  빠른 승진을 거듭해서 평장사를 거쳐 마침내 수상인 문하시중이 되었다. 맏딸이  문종의 왕비볼 선택된 지 3년에 또 다시 커다란 경사를 맞이한 것이다. 수도 개경에는 최고 학부인 국자감과 중등학교인  학당이 있었고, 지방에는 중등교육기관인  향교가 있었다. 그러나 이규보가  입학했을 당시에는 사립학교가 과거시험공부에  보다 유리하였으므로, 당연히 사립학교에는 중앙관료나  명문가의 자제들이 주로 입학하였다.

광주스웨디시 광주오피 여수오피 광주스웨디시 광주스웨디시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